과거의 관행을 되풀이한다면
노동조합의 분노를 감당해야 할 것이다!
◉ 일 시: 2011년 6월 3일(금) 14:00 ~ 14:10
◉ 장 소: 갑을오토텍 1층 교섭장
◉ 참 석 자: 노측 - 이대희 교섭위원 외 9명, 사측 - 김국원 교섭위원 외 6명
◉ 불 참 자: 사측 - 박효상 교섭대표, 김을주 교섭위원
◉ 차기교섭: 실무협의 |
노: 지난 제3차 지회보충교섭에서 노동조합 요구안에 대한 질의응답과 의사개진이 있었다. 또한 노동조합은 이번 제4차 지회보충교섭에서 회사의 안 제시를 요구한 바 있다. 금일 회사의 안이 있으면 제시해라.
사: 노동조합이 요구안으로 세 가지를 제시하였는데 간단치 않다. 노동조합에 제시할 수 있는 안이 정리되지 않아서 금일 안을 가지고 나오지 못했다.
노: 노동조합의 요구안은 지난 4월 6일 발송했다. 지회보충교섭도 3차까지 진행하면서 노동조합의 요구안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질의응답, 의사개진 과정을 거쳤기에 회사도 노동조합의 요구안에 대한 충분한 검토와 공유가 이루어졌으리라 판단한다. 또한 회사도 계속해서 조기 마무리에 대한 의지를 표명하였기에 금일 교섭에서는 회사의 안 제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교섭에 들어왔다.
하지만 회사는 과거의 구태의연한 관행을 되풀이 하는 것 같다. 노동조합의 요구안이 발송된 지 두 달이 지났고 요구안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질의응답 등이 이루어졌다. 회사의 검토가 더 필요하다고 하는 입장은 이해할 수 없다.
바로 어제 현대자동차에서는 타임오프를 빌미로 한 사측의 탄압에 의해 노동자가 목숨을 끊는 안타까운 일이 벌어졌다. 이렇듯 대외적으로 혼란스러운 일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노동조합은 원만한 교섭과 마무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런데 회사가 아직까지도 검토가 더 필요하다는 등의 핑계를 댄다면 이후 노동조합은 노동조합의 일정대로 진행 할 수밖에 없다. 차기 교섭에서는 회사의 심사숙고한 안 제시를 바란다.
제7차 중앙교섭 결과
제시안도 없고, 성원도 미달
7일 금속 노사 7차 중앙교섭 유회…불참사 규탄투쟁 등 대응책 마련
7일 금속 노사 7차 중앙교섭이 사용자 측의 성원미달로 유회됐다. 이날 사측은 교섭위원 총 성원 14명 중 9명만 참가했으며, 경기, 경주, 충남, 서울, 만도 등 다섯 곳이 불참했다. 교섭 성원이 되려면 최소한 2/3인 10명 이상이 참가해야 한다.
사측은 이날 불참한 지역 교섭대표 대신 같은 지역 운영위원을 성원으로 인정해 줄 수 없냐는 의사를 타진해 왔지만, 노조는 이를 거부했다. 중앙교섭을 대하는 사측의 불성실한 태도를 더 이상 좌시할 수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에 노조는 이날 7차 교섭이 유회됐음을 선언하고, 사측 교섭위원들을 되돌려 보냈다.
박유기 금속노조 위원장은 이날 교섭에 앞선 노조 사전회의에서 “사측이 각 지역 사업장들의 교섭 진행 정도, 특히 원청사인 현대 기아차의 교섭 속도를 감안한 듯하다. 또한 지난해처럼 교섭에서 실질적 내용이 없도록 해 쟁의조정신청 결과를 행정지도로 몰고 가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사측 교섭태도를 분석했다. 조정 결과가 ‘행정지도’로 나올 경우 불법파업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
노조는 이날 중앙교섭 유회 직후 열린 노조 중앙집행위원회에서 사측의 태도를 바꿔내기 위한 대책을 심의 확정했다. 노조는 8~10일 사업장별로 일제히 중앙교섭 참가 회사의 대표이사 항의방문을 진행키로 했다. 특히 7차 중앙교섭 불참 사업장은 지부 차원의 항의방문 및 규탄투쟁을 통해 재발방지 약속을 받아낼 계획이다.
노조는 다음 8차 교섭 때까지 사측 제시안이 없거나 내용이 미흡할 경우 지난 중앙집행위원회 결정대로 17일 쟁의조정을 신청할 예정이다.
한편 2003년부터 시작된 금속 노사 중앙교섭에서 사측의 성원미달 사태는 2009년까지 단 한 차례도 없다가 지난해 처음 발생했다. 하지만 지난해 사측은 미흡한 수준이라도 교섭결렬 전에 노조 요구안에 대한 입장을 내 놨었다. 7차례 교섭이 이뤄지는 동안 산별중앙협약 개악안을 내 놓거나 노조 요구안을 깡그리 무시한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