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가 정녕 원하는 것이 파국인가?
11월 18일 지회는 근로복지공단의 부당함에 맞서 확대간부동지들과 함께 투쟁을 전개한 바 있다. 이는 정상적인 노동조합 활동이며, 노동조합의 권리이자 의무이기도 하다. 조합원들이 당하는 부당함을 눈감고 있다면 이는 노동조합이길 포기한 것과 같은 문제다. 따라서 그 누구도 노동조합의 이 같은 활동에 대해 방해할 수 없다. 또한 누군가 방해를 한다면, 그에 맞서 투쟁해야 하는 것도 노동조합의 의무다.
그런데 회사는 11월 18일 근로복지공단 투쟁을 빌미로 확대간부동지들에게 경고장을 집행했다. 경고장 집행의 근거를 ‘기초질서’를 지키지 않은 무단이탈이라며 주장하고 있다. 새로운 노무부문장이 오면서 가장 먼저 한 것이 기존 합의사항들을 어기는 것이고, 관행을 깨는 것이며, 조합원들에게 협박하고, 기초질서를 운운하며 일방통행식 노사관계를 만드는 것이었다.
노동조합은 이번 확대간부동지들에 대한 경고장 집행은 지금까지의 행태를 넘어서는 전면적인 도전이라 판단한다. 누누이 밝혔듯이 회사는 자신들이 저지른 신종노조파괴 부당노동행위에 대해 그 어떤 사과도 하지 않고 뉘우치지도 않고 있다. 명백한 불법행위에 대해 모르쇠로 일관해 왔다. 우리는 이 같은 태도가 박효상(그룹부회장)이 얘기한 ‘민주노총 소속의 강성노조에 굴복하지 않겠다.’는 말과 일맥상통한다고 판단한다.
회사는 노동조합을 대화의 상대로 인정하지 않고, 자신들이 직접 서명한 노사간 합의에 대해서도 자신들이 굴복했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마치 노동조합을 자신들의 ‘적’으로 판단하며, 노동조합과 그 조합원 전체를 옭죄려 들고 있다. 이번의 경고장은 바로 그런 의미가 담겨져 있다.
정당하고 상식적인 노동조합 활동에 대해 경고장을 집행한다는 건, 그 근거가 무엇이든 상관없이 부당노동행위이다. 부당노동행위를 밥 먹듯이 해왔기 때문에 겁 없이 불법으로 일관하고 있는지 진정 되묻고 싶다. 또한 노사관계를 파행으로 몰아 극한 대립을 조장해서 회사가 얻는 것은 무엇이라 생각하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강력한 폭력과 불법부당노동행위를 한 여름 내내 겪어야 했던 우리 조합원들과 노동조합의 바램은 단 하나였다. 안정되고 신뢰감 있는 현장, 그것 하나였다. 그러나 그 기대와 바램은 지금 회사의 작태들로 말미암하 산산히 깨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현재 회사가 벌이는 모든 일들을 노동조합과 조합원들에게 적대감을 드러낸 행위라 판단한다. 당연히 해야 할 노동조합의 활동을 막아선다면 우리는 그 수준에서 대응해 나갈 것이다. 지금이라도 회사는 정신차려야 한다. 적어도 이 기업의 장기적 발전을 원한다면, 지금 해야 할 일은 노조탄압이 아니라 미래에 대한 구상이며, 보다 생산적인 경영계획을 밝히고 실행하는 일이다.
2015년 11월26일
전국 금속노동조합 충남지부 갑을오토텍지회장 이 재 헌